mobile background
프로필 이미지
2025-02-13


중국 대학교수의 조직지지감,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리수렌, 송선희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수의 조직지지감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확인하고, 여기에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 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12개 성, 1개 자치구, 3개 직할시의 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조직지지감,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이직의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 사는 인터넷 설문 사이트 ‘설문지 별(问卷星)’을 이용한 온라인 형식으로 자료를 배부하였고, 유효 설문지 1,211건을 회수하여 최종 분석자료로 삼았다. 구조방정식 분석은 SPSS 25.0과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수의 조직지지감,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대학교수의 조직지지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대학교수의 조직지지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지지감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는 순차적 매개 효과가 있었다. 

주제어: 중국대학교수, 조직지지감,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organization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argeting university professors in 12 provinces, 1 autonomous district, and 3 direct cities in China. The survey distributed data in an online format using the Internet questionnaire, and 1,211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and Mplus 7.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professors' organization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had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Third,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hav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Key words: Chinese Professo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원문링크:  https://doi.org/10.56485/jous.2024.3.2.34

프로필 이미지
2025-02-13


대학의 평생교육사 양성현황 및  과제 분석


박호근, 이자형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각 기관에서 양성하고 있는 평생교육사 배출현황을 살펴보고, 대학 차원에서 평생교육사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요구되는 과제를 도출 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KEDI)에서 제공하는 2023년도 교육통계서비스 데이터 및 기타 문헌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대학에서의 평생교육사 양성현황을 중심으로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사를 양성하는 총 179개 기관 가운데 고등교육기관은 145개 기관으로 81%를 차지했으며, 2019년~2022년 동안 전체 인원수 대비 약 61.0%(16,380명) 정도가 대학의 정규교육과정을 통해서 평생 교육사 자격을 획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 차원에서의 평생교육사 양성현황을 대학(원) 과정과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과정으로 구분하 여 살펴본 결과, 일반대학의 경우에는 전체 대학교 가운데 약 42.3% 정도가 평생교육사를 양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는 전체 가운데 약 2.87%인 12곳에서 학점은행제로 평생교육사를 양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6개 대학에서의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교과목 편성 사례를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비교해 본 결과, 실천 영역 교과목으로는 ‘성인학습 및 상담’, ‘청소년교육론’, ‘노인교육론’이 주로 편성되고 있었으며, 방법 영역 교과목으로는 ‘기업교육론’, ‘인적자원개발론’, ‘교육공학’이 주로 제공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문성을 지닌 평생교육사 양성을 위해 대학 차원에서 체계적인 양성과정을 수립해야 하고,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의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확대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평생교육사, 평생교육, 평생교육법, 대학 평생교육, 평생교육사 양성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ertified lifelong educators educated at various institutions in South Korea. Furthermore, it aims to identify the tasks required at the university level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lifelong educator professionals. To achieve thi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2023 Educational Statistics Service provided by KEDI and other relevant literatur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total 179 institutions that train lifelong educator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ccounted for 145, representing 81%. It was found that approximately 61.0%(16,380 individuals) of all certified lifelong educators between 2019 and 2022 obtained their certification through regular university education programs. Second, approximately 42.3% of general universities were engaged in training lifelong educators. In contrast, university-affiliated lifelong education centers accounted for only about 2.87%(12 institutions) that offered lifelong educator training through the credit bank system. Thir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lective courses offerings in the lifelong educator training programs at six universities showed that, in the practice domain, courses such as 'Adult Learning and Counseling,' 'Youth Education,' and 'Education for the Elderly' were predominantly included. In the methods domain, courses like 'Corporate Educ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Educational Technology' were primarily offer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future tasks required at the university level were proposed.

Key words: certified lifelong educators, lifelong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ct, lifelong education at universities, preservice programs for lifelong educators 


원문링크: https://doi.org/10.56485/jous.2024.3.2.15

프로필 이미지
2025-02-13


대학 통일교육 환경 개선 방안 연구


박찬석


<국문 초록>

그동안 대학 통일교육은 정부는 정부 방식으로, 교수는 교수 입장에서만 전개되는 전략을 고수해 왔다. 그러나 통일로 나아가는 길은 대학생 스스로 인내하며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고 방향을 준비하는 통일교 육적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통일미래세대의 과제는 국제 질서에서의 안보 역량 강화와 평화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길을 찾는 것이다. 대학 통일교육의 기초는 안보와 평화, 자유, 화해와 협력, 그리고 타협을 키우는 장구한 구체성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는 대학 통일교육의 강화, 현실적 논의, 남남 및 남북 화해와 협력의 길 찾기를 전개하고자 한다. 

주제어:  대학 통일교육, 안보 역량 강화, 평화 협력 증진 


<Abstract>

So far,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has adhered to a strategy in which the government operates from its own perspective, and professors operate only from their own perspectives. However, the path to unification requires a unification education plan in which college students exercise patience, listen to diverse opinions, and prepare a direction. In this respect, the plan for the future generation of unification is to find a way to strengthen security capabilities and enable peaceful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order. The basis of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is to have a long-term specificity that fosters security, peace, freedom, reconciliation, cooperation, and compromise. In this respect, this study seeks to strengthen unification education in universities, conduct realistic discussions, and find ways to reconcile and cooperate with South and North Korea. 

Key words: university unification education, strengthen security capabilities, enable peaceful cooperation 


원문링크: https://doi.org/10.56485/jous.2024.3.2.1

프로필 이미지
2024-07-10


고용허가제 외국인근로자의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탐색적 연구


남가영, 오춘식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고용허가제를 통하여 유입된 외국인근로자의 실태와 이들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 수준에서의 직업능력개발훈련의 내용과 수준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국내 노동시장의 인력 수급을 해 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2007년부터 기존의 외국인력 유치를 위한 정책을 고용허가제로 일원화하여 운영하 였다. 이를 기반으로 주무부처와 지자체 단위에서 외국인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업훈련이 제공되고 있다. 고 용허가제를 통해 유입된 외국인근로자의 90%는 업무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직업훈련에 참여하고 있었으 며, 한국어 자격증 취득 교육, 직무교육 등 현재 직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훈련뿐만 아니라 귀국 후 안정적인 재정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훈련 제공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헌연구 결과 를 토대로 외국인근로자의 직업훈련 관련 주요 이슈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고용허가제, 외국인근로자(E-9, H-2), 직업교육훈련 


<Abstract>

This research scrutinized the prevailing status of vocational training proffered at governmental and municipal levels to foreign laborers admitted via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longside an examination of their influx. The findings reveal that despite an expansion in quotas and occupational domains for those unde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due to escalating demand, the imparted training primarily revolves around rudimentary skill sets or foundational job-specific instruction, indicating a somewhat deficient endeavor towards systematic skill cultivation. In light of these observations, scholarly recommendations have been posited.

Key words: Employment Permit System, Foreign Workers(E-9, H-2), Vocational Training 


원문 링크: https://doi.org/10.56485/jous.2024.3.1.58

프로필 이미지
2024-07-10


대학기관연구조직 해외사례 분석 : 조직 설계, 기능 및 역할을 중심으로


박선효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해외의 대학기관연구 조직의 운영 사례들로부터 국내 대학기관연구 조직에 적용 가능한 요소 들을 도출하고자 함에 목적을 둔다. 대학기관연구 조직에 관한 연구는 미국에서 그 역사가 길고, 전 세계적 대학기관연구 조직 커뮤니티를 통해 그간의 시행착오를 겪으며 축적된 다양한 조직 운영의 노하우가 있기 에, 해외의 대학기관연구 조직을 중심으로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조직설계 차원의 다양한 요소들을 파 악해 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대학기관연구 조직의 구성 측면을 살펴본 결과, 대학기관연구 조직의 명칭을 통해 중점을 두는 바를 강조하고 있고, 대체로 주요 의사결정권자 직속 조직으로 두어 학내 핵심조직으로 자리 잡고 있 었으며, 인원 구성 측면과 팀 구성 측면에 있어서는 기관별로 차이를 보였다. 대학기관연구 조직의 주요 업 무들은 설문조사, 분석컨설팅, 요청분석, 데이터거버넌스 운영이 공통적으로 나타났고, 일부는 특정 협의회 업무, 학교순위관리 업무를 포함하였다. 국내 대학기관연구 조직을 신규로 구성하거나 재구성할 시, 해당 대 학이 추구하는 목적을 염두에 둔 대학기관연구 조직의 비전 수립, 중점 추진 분야에 다수의 인력을 배치하 거나 기존 인력에 대한 재교육 및 고용안정의 중요성, 데이터 공유, 학내 공감대 형성, 요청분석 업무의 공식 화 절차 마련 등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기관연구, 대학기관연구조직, 대학교육성과관리, 사례분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elements applicable to domestic university institutional research.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various elements of organizational design by applying case study methods centered on overseas university institutional research organizations. As a result,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university institutional research,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name of the university institutional research organization, which was generally positioned as a core organization within the school by placing it directly under the control of major decisionmakers,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institutions in terms of personnel composition and team composition. The main tasks of university institutional research were survey, analysis consulting, request analysis, and data governance operation. When forming or reorganizing a new domestic university institutional research organization, it was suggested to establish a vision for the institutional research of the university with the purpose pursued by the university in mind, to deploy a large number of personnel in the areas of focus promotion, the importance of reeduca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for existing personnel, data sharing, formation of consensus within the university, and to prepare a formalization procedure for request analysis work.

Key words: Institutional Research, Office of Institutional Research,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of Universities, Case Study 


원문 링크: https://doi.org/10.56485/jous.2024.3.1.31

프로필 이미지
2024-07-10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대학생 중소기업 취업 주요 이슈 분석


지혜순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역대 대통령들의 재임 기간 대학생 중소기업 취업 지원 등과 관련해 시행된 다양한 정책들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해 보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뉴스데이터를 활용하여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실 시하였다. 이에 총 13,194편의 뉴스데이터를 수집하여 불용어 제거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키워드 분 석, 연관어 분석 등을 진행하였다. 뉴스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 하였다.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기간을 분석한 결과 ‘일자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 으며, ‘대기업’, ‘서울’, ‘근로자’, ‘구직자; 등의 순으로 니타났다. 둘째, 연도별 워드 클라우드 분석 결과 문재 인 대통령은 코로나, 제조업, 지원금, 최저임금 등의 순으로, 박근혜 대통령은 노동자, 청년층, 지원금, 제조 업 등의 순으로, 이명박 대통령은 실업자, 제조업, 마이스터고, 대학생 등의 키워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TF-IDF 분석 결과 대통령 교체 시기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부 정책과 관련된 키워드 중에서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청년내일채움공제, 취업장려수당 등이 나타남에 따라 다양한 정부의 지원제도 중에 대학생의 중소기업 취업과 관련해서는 해당 지원제도가 언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대학생, 중소기업. 취업, 텍스트마이닝, 빅카인즈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text mining analysis using news data to objectively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policies, such as support for college student and small business employment, implemented during the tenures of past presidents. After collecting a total of 13,939 news articles, preprocessing such as removal of stop words was performed, and keyword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news data was collected from 'Big Kinds' of the Korea Press Foundation. The main results analyzed are as follows: initially, a high-level analysis of the entire period showed that 'jobs' wer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followed by 'large companies', 'Seoul', 'workers', and 'job seekers'. Secondly, the yearly word cloud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resident Moon Jae-in was associated with Covid-19, manufacturing, subsidies, minimum wage, in that order. President Park Geun-hye was associated with 'workers', youth, subsidies, manufacturing, in that order. President Lee Myung-bak was associated with 'unemployed', manufacturing, vocational high schools (Meister schools), college students, in that order. Thirdly, the TF-IDF analysis revealed distinc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iming of presidential changes. Additionally, among keywords related to government policies, terms such as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Tomorrow Learning Credit, and Employment Encouragement Allowance emerge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se support programs are mentioned in relation to college student employment in small businesses among various government support initiatives.

Key words: College students, small businesses, Employment, Text Mining, Big Kinds 


원문 링크: https://doi.org/10.56485/jous.2024.3.1.18

프로필 이미지
2024-07-10


비수도권 대학 지역 연합 동아리 기반 UX 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장순규


<국문 초록>

최근 들어 성장하는 온라인 플랫폼 업계 및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UX 디자인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은 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그 결과 비수도권 대학에서 UX 디자인을 전공하는 학생 입장에서 전문가 로 성장하는 환경에 다소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비수도권 중 대구, 경북권의 대학에서 UX 디자인 전문가로 성장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연합 동아리를 구성해서 프로젝트를 하는 학생 활동을 탐구한다. 연구를 위해 프로젝트 기반 전공 학습을 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모집해 지역 연합 동아리를 구 축했다. 동아리 활동은 선행연구에서 확인한 UX 디자인 교육의 단계를 바탕으로 한 UX 디자인 프로그 램으로 구성했다. 15주 과정을 2번 경험한 뒤, 동아리 참여 학생을 통해서 선행 연구에 제시된 UX 디자 인 교육 프로그램을 보편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느끼는지, 아니면 지역 인프라 개선의 상황으로 느끼는 지 교차 검증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학생들은 지역 연합 동아리의 형태로 운영하는 UX 디자인 교육 프 로그램이 지역의 부족한 UX 디자인 교육 인프라를 개선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대구, 경북권 대학의 학생들이 모여 UX 디자인 프로젝트를 함께 운영하는 지역 연합 동아리가 UX 디자인 교 육과 관련한 지역의 한계를 개선할 방안이 될 것으로서 제시한다.

주제어: 디자인 교육, 비수도권 대학, UX 디자인,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Abstract>

Recently, the UX design expert training program is founded around Seoul metropolitan area, where firms growing in the online platform industry and global companies are concentrated. Accordingly,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in the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majoring in UX design at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can grow into experts. This research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fter-school activities ‘clubs' through a pre-test that assessed the positive effects on major learning from club participation among students at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As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founded the local united club for studying UX design. The local united club recruited students who wanted to study a project-based major. For club activities, which was the UX design program based on content from pre-research, was constructed following the stages of UX design education confirmed in previous studies. After experiencing the 15- week course twice, cross-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lub to see whether the UX design education program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was a universal education program or a situation of improving local infrastructure of UX desig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UX design education program, operated in the form of a regional association club, could improve the UX design education infrastructure. The program of after-school club activities based in non-metropolitan areas, which will help students grow into UX design experts in IT firms, will be an alternative to improving the disappointing environment for students in Daegu and Gyungbuk area.

Key words: Design education,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UX design, Expert training program 


원문 링크: https://doi.org/10.56485/jous.2024.3.1.1

프로필 이미지
2024-02-14


예술적 감성 양성을 통한 세계시민 양성과 음악교육 연구


최화숙


<국문 초록>

팬데믹 이후, 우리 사회는 ‘내가 아닌 남에 대한 관용성과 포용성’에 관해 고민해 보아야 한다. 다른 국가들과 개개인들 차원에서 상호연결성이 증대되는 세계화 현상에서 펜더믹은 우리 사회에 ‘혐오’의 문제점을 낳았다. 국가 안과 밖의 변화와 세계화 흐름 속에서 시민적 정체성과 역량의 모색과 형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논문은 인문학적 논의와 음악, 감성 함양, 세계시민이라는 중요한 연결키워드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모호하면서도 광범위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구체적이면서 효율적인 시민교육의 목적과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 보았다.

본 연구는 음악교육은 왜 필요할까? 예술적 융합을 기반으로 한 음악교육은 무엇인가? 음악교육과 세계시민 양성과의 관계는 어떤 것인가? 음악교육을 통한 세계시민 양성은 가능한가? 라는 의문에서 시작했다. 예술교육은 오늘날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으로 남겨진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적용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으며, 예술교육의 목적을 개인의 심미적인 발전을 촉진하고, 문화적으로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는데 두고 있다고 한다.

음악은 실천주의적 관점을 기반으로 사회문화적인 흐름과 분위기 속에서 자연스럽게 자신을 이해하고 그 안에서 삶의 철학을 찾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학교 현장은 학업성과와 입시 위주의 교육을 통한 교육은 인성교육을 놓치고 있다. 현실의 교육 현장에서 언어적, 유형적 폭력, 집단따돌림, 성과 관련된 문제, 이기심과 혐오, 편파적 사고로 인한 많은 문제가 있다는 사실은 부인하기 어렵다. 우리는 음악을 통해 정서와 감수성을 기르고, 음악의 미적 탐구와 통찰 및 성찰을 통해 자신과 타인 그리고 사회와 세계를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주제어: 

음악교육, 세계시민, 교육방향, 음악교육의 정당성, 감성함양


<Abstract>

After the pandemic, our society has gradually become more diverse in terms of culture, race, language, and religion. In the globalization phenomenon where interconnectivity is increasing at the level of different countries and individuals, the pandemic has brought the problem of ‘hatred’ to our society. We conducted research on the search and formation of civic identity and capabilities amidst the globalization trend of change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In this research paper, we conducted research focusing on philosophical discussions and important linking keywords such as music, emotional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specific and essential purpose and meaning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hich is somewhat ambiguous but broad. I tried for it. So, this study asks: Why is music education necessary? What is music education based on artistic fusion?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education and nurturing global citizens? Is it possible to cultivate global citizens through music education? I started with the question: Art education explores various possibilities to solve the social and cultural challenges facing the world today, and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is said to be to bring about culturally desirable results as well as individual aesthetic development. Music aims to naturally understand oneself within the socio-cultural flow and atmosphere based on a practical perspective and to find a philosophy of life within it, but in our school, education through education centered on academic performance and entrance exams is character education. is missing. There is no denying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in such educational settings, such as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group bullying, suicide, school maladjustment, peer relationship problems, and sexual morality disorder. We must cultivate emotions and sensibilities through music and strive to understand ourselves, others, society, and the world through aesthetic exploration, insight, and reflection in music.

Key words: Music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al direction, legitimacy of music education, emotional development


원문 링크: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68175497

프로필 이미지
2024-02-14


대학입시 공정성에 관한 해외 고등교육 관련 법과 사례에 관한 분석


고은정


<국문 초록>

한국은 세계적으로 교육에 대한 열의를 인정받은 나라이며, 이 같은 한국의 교육 열풍은 학부모, 학생, 정부, 사교육 시스템이 제 역할을 다하여 준 덕분일 것이다. 하지만, 위 다자간의 관계에서 전제가 되어야 할 입시 공정성은 개념과 적용에 난해함과 모호함이 뒤따르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과 일본에서 이슈가 되었던 사건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문제점을 고민하고자 한다. 특히 『Advancing Racial Equity and Support for Underserved Communities Through the Federal Government』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아울러, 해당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성적 평가는 정량적 평가에 비해 객관적이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가치판단이 개입될 가능성이 정량평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볼 수 있으므로, 한국의 입시는 공정성, 불평등, 차별의 문제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으며, 정유라 사건, 숙명여고 쌍둥이 사건, 조국 사건을 겪으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공정시스템 점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한국보다 먼저 고등교육법을 제정하고 시행한 미국의 교육 시스템의 목적, 구체적 조문, 실행 체계 등을 소개하고 미국의 법과 정책에서의 ‘공정’을 실현하기 위한 과정과 절차를 살펴본다. 둘째, 미국과 일본에서 이슈가 되었던 사건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미국과 일본의 입시 과정에서 불공정과 부정의 양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위 연구 과정은 단순히 입시 비리·부정의 각국의 법과 정책의 적용 상황을 넘어, 전반적인 사회 구조적 시스템의 문제점과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주제어: 

고등교육, 입시, 대학교육의 불공정, 미국의 교육행정지침, 선진교육제도


<Abstract>

Korea is a country recognized globally for its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Korea's education craze is thanks to the parents, students, government, and private education system playing their roles. However, fairness in admissions, which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the above multi-party relationship, is difficult and ambiguous in its concept and appli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cases that became an issue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consider the problems. In particular, we would like to look at the specific contents of 『Advancing Racial Equity and Support for Underserved Communities Through the Federal Government』.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qualitative evaluation is less objective than quantitative evaluation, the possibility of various value judgments being involved is relatively higher than quantitative evaluation. Korea's college entrance exam cannot help but worry about the issues of fairness/inequality/discrimination, and the need for a nationwide inspection of the fair system has emerged following the Jeong Yu-ra/Sookmyung Women's high school twins/Cho Kuk incident. Accordingly, the thesis would like to introduce the purpose/specific provisions/implementation system of the American education system that enacted and implemented the Higher Education Act. Second, the thesis would like to find, introduce, and analyze cases related to college entrance exams in the United States and also introduce incidents that became an issue in Japan. This will be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problems and status of the overall social structural system, beyond simply the application of each country's laws and policies. Third, the thesis aim to introduce and analyze laws and policies/case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education.

Key words: Higher education, entrance exams, unfairness in university education, Americ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guidelines, advanced education system


원문 링크: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68175480

프로필 이미지
2024-02-14


신입생 기초 학업 능력 교육을 위한 교양 글쓰기 교육과정 연구


이지선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에게 기초 학업 능력을 교육하기 위한 교양 글쓰기 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초 교양 필수 교과목인 글쓰기 강의가 도구 교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강조하는 논의를 살펴, 학업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도구 교과로서 초점화하는 관점이 유용하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기초 학업 능력으로서 글쓰기 능력을 바라보는 교육과정인 WAC 교육과정과 계열별 글쓰기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분석하였다. WAC 교육과정은 학업 수행 과정에서 작성해야 하는 과제를 중심으로 마련된 글쓰기 교육과정이라는 점에서 실제성을 확보한 교육과정이라는 강점이 있다. 다만 개별화 운영이 필요하여 필수 교양 교육과정으로 운영하기 어렵다는 점, 교과목을 운영하기 위해 전체 대학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차원으로 확대되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에서 대안이 필요하다. 계열별 글쓰기 교육과정은 기초 교양 필수 교육과정으로서 적용하기에 WAC 교육과정보다 다소 용이하다. 그러나 학문 계열별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글쓰기 유형이 있다고 볼 수 있을지의 문제와, 학문 계열 내에서 합의할 수 있는 공통 글쓰기 유형이 있다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한 비판이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문 중심 글쓰기 교육과정 모형을 현실적인 운영 맥락에 적용하기 위해 공통 교육과정과 모듈형 교육과정을 통합 구성하는 교육과정 모형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주제어: 

기초 학업 능력, 필수 교양 교육과정, WAC, 계열별 글쓰기 교육과정, 모듈형 교육과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organize a liberal arts writing curriculum to educate college freshmen on basic academic skills. To this end, the discussion on the nature of liberal arts writing lectures as a basic liberal arts essential subject was broadly examined,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perspective of focusing as a tool subject was useful to enhance academic ability. In addition, discussions on the WAC curriculum, which is a curriculum that looks at writing ability as a basic academic ability, and the writing curriculum by division were analyzed. The WAC curriculum has the advantage of securing practicality in that it is a writing curriculum prepared around tasks to be written in the academic performance process. However, it is difficult to operate as an essential liberal arts curriculum due to the need for individualized operation, and alternatives are needed in that it is difficult to design and operate the entire university curriculum to operate the subject. The writing curriculum for each category is somewhat easier than the WAC curriculum to apply as a basic liberal arts essential curriculum, but criticism is raised over whether there is a distinct writing type by academic field, while at the same time whether there is a common writing type that can be agreed upon within the academic field.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urriculum model that integrates the common curriculum and the modular curriculum could be an alternative to applying the academic-centered writing curriculum model to the realistic operating context.

Key words: Basic academic ability, required liberal arts curriculum, WAC, writing curriculum by category, modular curriculum


원문 링크: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68175473



SOOKMYUNG INSTITUTE 
OF GLOBAL GOVERNANCE

(04309)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47나길 36 숙명여자대학교 인재관 308호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TEL: 02-6325-3115~7      E-MAIL: sigg@sookmyu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