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 서론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 내용 및 범위 III. 연구 방법 IV. 연구의 제한점
2 장 러시아와의 고등교육 상호교류 현황 I. 우리나라 대학의 외국인 학생 및 교원 현황 1. 외국인 유학생 및 교원 현황 2. 러시아 유학생 및 교원 현황 II. 우리나라 대학과 러시아 대학의 교류 사례 1. 사례 대학의 외국인 학생 수 및 교원 현황 2. 사례 대학의 러시아 대학과의 교류 현황 III. 소결
3 장 러시아의 고등교육 학위제도 분석 I. 러시아 교육제도 개관 1. 일반교육체계(General education system) 2. 직업기술교육체계(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I. 러시아의 고등교육제도 1. 러시아의 고등교육체계(Higher education system) 2. 러시아의 고등교육 질 관리 체제 III. 러시아의 학위제도 특성과 한국 학위제도 비교 분석 1. 우리나라의 일반적 교육제도 2. 우리나라와 러시아의 고등교육 학위제도 비교 3. 한국의 평생교육제도 및 관련 학위제도
4 장 한국 대학의 러시아 학위인정 사례 I. 한국 대학에서의 해외 학위인정 방식 1. 한국연구재단의 해외학위인정 방식 2. 개별 대학의 학위조회 방법 II. 한국 대학의 러시아 학위인정 방식 및 사례 1. 외국인 학생들에 대한 일반적인 학위인정 방식 2. 러시아 학생들에 대한 학위인정 방식
5 장 한⦁러 상호학위인정협약 쟁점 분석 및 개선방안 I. 러시아의 해외 학위인정 개관 II. 러시아의 학위인정 협약 현황 1. 다자간 협약 사항 2. 양자 간 학위인정 협약 현황 III. 한·러 상호학위인정협약 관련 쟁점 분석 1. 체결 형태 및 주체 관련 쟁점 2. 학력/학위/자격 인정 대상 관련 쟁점 3. 평생교육 관련 학위인정 관련 쟁점 4. 상호 학위인정 적용의 보편성 관련 쟁점 5. 기타 사항에 대한 논의
1 장
서론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 내용 및 범위
III. 연구 방법
IV. 연구의 제한점
2 장
러시아와의 고등교육 상호교류 현황
I. 우리나라 대학의 외국인 학생 및 교원 현황
1. 외국인 유학생 및 교원 현황
2. 러시아 유학생 및 교원 현황
II. 우리나라 대학과 러시아 대학의 교류 사례
1. 사례 대학의 외국인 학생 수 및 교원 현황
2. 사례 대학의 러시아 대학과의 교류 현황
III. 소결
3 장
러시아의 고등교육 학위제도 분석
I. 러시아 교육제도 개관
1. 일반교육체계(General education system)
2. 직업기술교육체계(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system)
II. 러시아의 고등교육제도
1. 러시아의 고등교육체계(Higher education system)
2. 러시아의 고등교육 질 관리 체제
III. 러시아의 학위제도 특성과 한국 학위제도 비교 분석
1. 우리나라의 일반적 교육제도
2. 우리나라와 러시아의 고등교육 학위제도 비교
3. 한국의 평생교육제도 및 관련 학위제도
4 장
한국 대학의 러시아 학위인정 사례
I. 한국 대학에서의 해외 학위인정 방식
1. 한국연구재단의 해외학위인정 방식
2. 개별 대학의 학위조회 방법
II. 한국 대학의 러시아 학위인정 방식 및 사례
1. 외국인 학생들에 대한 일반적인 학위인정 방식
2. 러시아 학생들에 대한 학위인정 방식
5 장
한⦁러 상호학위인정협약 쟁점 분석 및 개선방안
I. 러시아의 해외 학위인정 개관
II. 러시아의 학위인정 협약 현황
1. 다자간 협약 사항
2. 양자 간 학위인정 협약 현황
III. 한·러 상호학위인정협약 관련 쟁점 분석
1. 체결 형태 및 주체 관련 쟁점
2. 학력/학위/자격 인정 대상 관련 쟁점
3. 평생교육 관련 학위인정 관련 쟁점
4. 상호 학위인정 적용의 보편성 관련 쟁점
5. 기타 사항에 대한 논의
6 장
요약 및 제언
I. 연구 요약
II.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