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기간 | 2015. 1. 1.-2015. 12. 31.
|
발표일자 | 2015-12-31
|
지원기간 | 포스코경영연구소
|
발행기관 | 포스코경영연구소
|

[목차]
1. 그리스 시리자 승리로 유럽 불안 가중
2. 국왕 바뀐 사우디, 당분간 큰 변화 없어
3. ISIS 세력확대와 국제사회의 대응
4. 그리스 채무협상 타결의 의미와 전망
5. 우크라이나 정전합의 이후 사태 전망
6. 미국의 ‘제한적 지상군 파병’결정의 배경과 전망
7. 미국-쿠바 관계 정상화 합의의 배경과 향후 전망
8. 변화하는 글로벌 에너지 정세
9. 2015년 상반기 국회의원 재보선의 의미와 전망
10. 중국은 왜 사드를 반대하는가?
11. 2015 이스라엘 총선 쟁점과 주변 정세 전망
12. 유로존 경기회복 가능성에 대한 평가와 전망
13. 북-러 정상회담의 배경 및 전망
14. 4.29 재보선 이후 정국 동향 예상
15. 중국의 남사군도 인공섬 건설
16. 미-일 안보 가이드라인 개정의 내용과 의미
17.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창설의 의미와 시사점
18. 미국-인도 안보협력: 對 중국 군사동맹으로 발전하나?
19.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과 그 함의
20. 2015 터키 총선거의 후폭풍: 서방과의 관계변화 오나?
21. 메르스 사태와 한국의 대응, 무엇이 문제인가?
22. 최근 북한경제 동향과 전망
23. 한일관계 변화 전망
24. 그리스 사태, 어떻게 전개될까?
25. 차기 한미정상회담의 의미와 과제
26. 2016년 총선의 의미와 주요 관전 포인트
27. 일본 방위백서와 동북아 정세
28. 위기의 브라질, 장기적 안목에서 접근 필요
29. 미국-터키 군사합의와 對 IS 전쟁양상의 변화
30. 박대통령의 중국 전승기념행사 참석
31. 미국 대통령 선거운동 초반 평가
32. 시진핑 방미 주요 예상쟁점 및 전망
33. 최근 북한 정세 및 남북관계 발전 전망
34. 중국 경제, 위기인가 조정인가?
35. 박대통령 방미와 한미정상회담
36.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내용과 함의
37. TPP 협상 타결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
38. 파리 테러공격과 유럽 위기의 서막
39. 북한 7차 노동당대회 개최 발표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40. 파리發 테러 리스크, 글로벌 경제에 미칠 영향은?
41. 2016년 20대 총선 및 총선 후 주요 정치상황 전망
42. 한-중 FTA 발효, 韓 경제 “새로운 성장동력 기대”
자료 필요시 아래 메일로 연락바랍니다.
sigg@sm.ac.kr
[목차]
1. 그리스 시리자 승리로 유럽 불안 가중
2. 국왕 바뀐 사우디, 당분간 큰 변화 없어
3. ISIS 세력확대와 국제사회의 대응
4. 그리스 채무협상 타결의 의미와 전망
5. 우크라이나 정전합의 이후 사태 전망
6. 미국의 ‘제한적 지상군 파병’결정의 배경과 전망
7. 미국-쿠바 관계 정상화 합의의 배경과 향후 전망
8. 변화하는 글로벌 에너지 정세
9. 2015년 상반기 국회의원 재보선의 의미와 전망
10. 중국은 왜 사드를 반대하는가?
11. 2015 이스라엘 총선 쟁점과 주변 정세 전망
12. 유로존 경기회복 가능성에 대한 평가와 전망
13. 북-러 정상회담의 배경 및 전망
14. 4.29 재보선 이후 정국 동향 예상
15. 중국의 남사군도 인공섬 건설
16. 미-일 안보 가이드라인 개정의 내용과 의미
17.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창설의 의미와 시사점
18. 미국-인도 안보협력: 對 중국 군사동맹으로 발전하나?
19.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과 그 함의
20. 2015 터키 총선거의 후폭풍: 서방과의 관계변화 오나?
21. 메르스 사태와 한국의 대응, 무엇이 문제인가?
22. 최근 북한경제 동향과 전망
23. 한일관계 변화 전망
24. 그리스 사태, 어떻게 전개될까?
25. 차기 한미정상회담의 의미와 과제
26. 2016년 총선의 의미와 주요 관전 포인트
27. 일본 방위백서와 동북아 정세
28. 위기의 브라질, 장기적 안목에서 접근 필요
29. 미국-터키 군사합의와 對 IS 전쟁양상의 변화
30. 박대통령의 중국 전승기념행사 참석
31. 미국 대통령 선거운동 초반 평가
32. 시진핑 방미 주요 예상쟁점 및 전망
33. 최근 북한 정세 및 남북관계 발전 전망
34. 중국 경제, 위기인가 조정인가?
35. 박대통령 방미와 한미정상회담
36.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의 내용과 함의
37. TPP 협상 타결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
38. 파리 테러공격과 유럽 위기의 서막
39. 북한 7차 노동당대회 개최 발표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40. 파리發 테러 리스크, 글로벌 경제에 미칠 영향은?
41. 2016년 20대 총선 및 총선 후 주요 정치상황 전망
42. 한-중 FTA 발효, 韓 경제 “새로운 성장동력 기대”
자료 필요시 아래 메일로 연락바랍니다.
sigg@sm.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