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 서론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II. 연구의 내용 및 범위 III. 글로벌 교육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위상
2 장 고등교육 국제화의 범위 및 현황 I. 고등교육 국제화의 범위 II. 해외 주요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현황 1. 주요국의 관련 법 및 제도 2. 주요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현황 III.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국제화 현황 1. 국내의 관련 법 및 제도 2. 국내대학의 고등교육 국제화 현황
3 장 국내외 대학간 주요 협력 모델 I. 유형 1: 복수학위 II. 유형 2: 공동학위 III. 유형 3: 트위닝 IV. 유형 4: 학점인정 V. 유형 5: 프랜차이즈 VI. 유형 6: 제휴/네트워크 VII. 기타: 외국 유명 학원과의 연계
4 장 향후 조인트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I. 장기적인 운영 전략 II. 권역별 협력 전략 1. 선진국과의 협력 방안 2. 개도국과의 협력 방안 III. 한국형 조인트 프로그램 운영 모델 IV. 법률/제도상의 개선점 1. 유형의 정의 및 운영 방법 2. 대학 차원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5 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첨부 1] 융합 과학 및 공학(Fusion Science & Engineering)의 6개 분야별 세부 전공 [첨부 2] Taylor's University와 제휴 대학: 127개 [첨부 3] 학점 테이블 [첨부 4] 트위닝 및 프랜차이즈 운영요령
1 장
서론
I. 연구의 배경 및 목적
II. 연구의 내용 및 범위
III. 글로벌 교육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위상
2 장
고등교육 국제화의 범위 및 현황
I. 고등교육 국제화의 범위
II. 해외 주요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현황
1. 주요국의 관련 법 및 제도
2. 주요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현황
III.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국제화 현황
1. 국내의 관련 법 및 제도
2. 국내대학의 고등교육 국제화 현황
3 장
국내외 대학간 주요 협력 모델
I. 유형 1: 복수학위
II. 유형 2: 공동학위
III. 유형 3: 트위닝
IV. 유형 4: 학점인정
V. 유형 5: 프랜차이즈
VI. 유형 6: 제휴/네트워크
VII. 기타: 외국 유명 학원과의 연계
4 장
향후 조인트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I. 장기적인 운영 전략
II. 권역별 협력 전략
1. 선진국과의 협력 방안
2. 개도국과의 협력 방안
III. 한국형 조인트 프로그램 운영 모델
IV. 법률/제도상의 개선점
1. 유형의 정의 및 운영 방법
2. 대학 차원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5 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첨부 1] 융합 과학 및 공학(Fusion Science & Engineering)의 6개 분야별 세부 전공
[첨부 2] Taylor's University와 제휴 대학: 127개
[첨부 3] 학점 테이블
[첨부 4] 트위닝 및 프랜차이즈 운영요령